📌 AWS
AWS는 Amazon Web Service의 약자로, 클라우드 공급자다.
온디맨드 방식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서버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AWS Cloud의 역사
2002년 - 첫 출시
2004년 - 첫 서비스인 SQS 출시
2006년 - 확장된 서비스 SQS, S3 & EC2 출시
2007년 - 유럽에서 출시
📌 AWS Cloud Use Case
- 복잡하고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 기업 IT 이전, 백업 & 스토리지에 사용한다.
- 빅데이터 분석에 사용한다.
- 웹사이트 호스팅, 모바일 또는 소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백엔드로 사용한다.
- 게임 서버 전체가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 AWS Regions
전 세계에 걸쳐 있는 이름이 있는 데이터 센터의 집합으로,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특정 리전에 연결되어 국한된다.
[리전을 선택하는 방법]
- 법률 준수 : 데이터들을 대상 국가 내에 보관하도록 한다.
- 지연 시간 : 대부분의 사용자들과 애플리케이션이 가까이 위치하도록 하여 지연 시간을 줄여야 한다.
- 서비스의 존재 :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서비스를 활용 중이라면, 출시하려는 리전에 해당 서비스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 요금 : 리전마다 요금이 다르므로, 체크해야 한다.
📌 AWS Availability Zones
각각의 리전은 가용 영역이 있으며, 보통 3~6개이고 대부분은 3개이다.
각 가용영역은 여분의 전원, 네트워킹과 통신 기능을 갖춘 1 ~ 2개의 개별적인 데이터 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각 가용영역은 재난 발생에 대비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데이터 센터와 가용 영역들은 높은 대역폭의 초저지연 네트워킹으로 서로 연결되어 리전을 형성한다.
📌 AWS Points of Presence(Edge Locations)
40여 국가의 90개 이상의 도시에 400개가 넘는 전송 지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으로 인해 최소 지연 시간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 AWS Console
AWS는 IAM, Route 53, CloudFront, WAF등의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AmazonEC2, Elastic Beanstalk, Lambda, Rekognition등, 대부분의 AWS 서비스들은 특정 리전에 국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