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 세준이는 1×1크기의 그림으로 모자이크한 100×100크기의 그림을 가지고 있다.
어느 날 이 모자이크 중 일부 그림이 너무 보기 싫어서 N개의 불투명한 종이로 그림을 가리기 시작했다.
불투명한 종이로 가린다고 항상 그 그림이 안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 그림의 현재 부분 위에 M개 이하의 종이가 올려져 있으면 그림은 그 부분에서 보이게 된다.
그림의 크기는 100×100이고,
N개의 종이는 왼쪽 아래 모서리 좌표와 오른쪽 위 모서리 좌표가 입력으로 들어온다.
또, 종이가 가리는 영역에는 두 모서리의 좌표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1,1)부터 (2,2)를 가린다면, 총 4개의 그림이 가려진다. (1,1), (1,2), (2,1), (2,2).
100×100크기의 모자이크 중에 보이지 않는 그림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M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종이의 좌표가 주어진다.
왼쪽 아래 모서리의 x, y좌표, 오른쪽 위 모서리의 x, y좌표 순으로 주어진다.
모든 좌표는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 출력 : 첫째 줄에 정답을 출력한다.
1531번: 투명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M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종이의 좌표가 주어진다. 왼쪽 아래 모서리의 x, y좌
www.acmicpc.net
✅ 풀이
n, m = map(int, input().split())
board = [[0 for i in range(100)] for j in range(100)]
for i in range(n):
lx, ly, rx, ry = map(int, input().split())
for l in range(lx-1, rx):
for r in range(ly-1, ry):
board[l][r] += 1
cnt = 0
for i in range(100):
cnt += len([k for k, v in enumerate(board[i]) if v > m])
print(cnt)
💡 0으로 초기화된 100 x 100 보드를 먼저 만들었다.
좌측 상단 좌표부터 우측 하단 좌표까지 반복하며 해당하는 위치에 1을 더했다.
그 다음 m개보다 종이가 더 많이 쌓여있는 좌표의 갯수를 세주었다.
📝 문제
💡 세준이는 1×1크기의 그림으로 모자이크한 100×100크기의 그림을 가지고 있다.
어느 날 이 모자이크 중 일부 그림이 너무 보기 싫어서 N개의 불투명한 종이로 그림을 가리기 시작했다.
불투명한 종이로 가린다고 항상 그 그림이 안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 그림의 현재 부분 위에 M개 이하의 종이가 올려져 있으면 그림은 그 부분에서 보이게 된다.
그림의 크기는 100×100이고,
N개의 종이는 왼쪽 아래 모서리 좌표와 오른쪽 위 모서리 좌표가 입력으로 들어온다.
또, 종이가 가리는 영역에는 두 모서리의 좌표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1,1)부터 (2,2)를 가린다면, 총 4개의 그림이 가려진다. (1,1), (1,2), (2,1), (2,2).
100×100크기의 모자이크 중에 보이지 않는 그림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M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종이의 좌표가 주어진다.
왼쪽 아래 모서리의 x, y좌표, 오른쪽 위 모서리의 x, y좌표 순으로 주어진다.
모든 좌표는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 출력 : 첫째 줄에 정답을 출력한다.
1531번: 투명
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M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종이의 좌표가 주어진다. 왼쪽 아래 모서리의 x, y좌
www.acmicpc.net
✅ 풀이
n, m = map(int, input().split())
board = [[0 for i in range(100)] for j in range(100)]
for i in range(n):
lx, ly, rx, ry = map(int, input().split())
for l in range(lx-1, rx):
for r in range(ly-1, ry):
board[l][r] += 1
cnt = 0
for i in range(100):
cnt += len([k for k, v in enumerate(board[i]) if v > m])
print(cnt)
💡 0으로 초기화된 100 x 100 보드를 먼저 만들었다.
좌측 상단 좌표부터 우측 하단 좌표까지 반복하며 해당하는 위치에 1을 더했다.
그 다음 m개보다 종이가 더 많이 쌓여있는 좌표의 갯수를 세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