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블로에서의 집계
측정값을 행/열 선반에 가져가면 태블로는 이를 자동으로 집계한다.
기본적으로는 SUM을 통해 집계되며, 다른 방법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집계는 차원값의 레벨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 막대 차트
📊 막대 차트의 종류
- 막대차트 : 1개의 측정값, 1개의 차원값으로 구성된 차트
- 누적된 막대 차트 : 기존의 막대 차트에서 색상에 하위 차원을 추가한 차트
- Bar in Bar 차트 : 서로 다른 두개의 막대 차트로 구성된 차트
🤔 Bar in Bar 차트를 만드는 방법
- 막대 차트를 만들기
- 차트의 축에 새로운 측정값을 끌어다 놓기
- 측정값 이름을 색상에 끌어다 놓아 누적된 막대 차트 만들기
- 측정값 이름을 크기에 끌어다 놓기
- 메뉴의 분석 탭에서 마크 누적을 해제하기
📌 산점도 차트
산점도 : 최소 2개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차트로, 차원을 세부 정보에 추가하면 마크의 개수가 증가하는 차트
📌 이중 축과 콤보 차트
- 이중축 : 두 개의 서로 다른 축을 가진 차트를 하나의 축으로 합쳐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콤보차트 : 이중축을 사용해 서로 다른 마크 타입을 가진 두 차트를 하나의 축에 표시한 차트
📌 결합 축 차트
결합축 차트 : 이중축을 사용한 경우, 축 동기화를 통해 결합축 차트로 만듦
📌 자동 생성된 필드
태블로가 자동으로 생성한 필드들은 이태리체로 표기되어 있으며,
경도, 위도, 레코드 수, 측정값, 측정값 이름 등이 있다.
📌 지도
지리적 역할을 가진 필드를 세부 정보에 끌어다두면 지도 형태의 차트가 만들어진다.
🗺️ 지도의 종류
- Symbol Map : 데이터를 각 지역에 기호로 표기한 지도 형태의 차트
- Filled Map : 데이터를 각 지역에 색으로 칠해 표기한 지도 형태의 차트
📌 크로스 탭
크로스 탭(텍스트 테이블) : 차원값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텍스트에 배치하여 표의 형태로 나타낸 차트
📌 하이라이트 테이블과 히트 맵
- 하이라이트 테이블 : 차원값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색상에 배치한 차트
- 히트 맵 : 차원값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크기에 배치한 차트
📌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 : 1개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차트로, 보통 측정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차트
📌 트리 맵
트리 맵 : 차원값 각 카테고리의 측정값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의 사각형으로 분할된 형태의 차트
📌 불릿 차트
불릿 차트 : 2개의 측정값으로 구성된 차트로, 두 측정값을 비교하는데 용이한 차트
📌 마크 레이블과 주석
🤔 마크 레이블 표기 방법
- show mark label 버튼 누르기
- 측정값을 Marks Pane의 Label에 끌어다 두기
📝 주석
주석은 시각화 자료를 보는 사람들이 특정 부분을 주목하여 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원하는 값이 위치한 마크를 우클릭하고 주석을 선택해 표기한다.
📌 축 편집
축의 범위, 스케일, 축 간격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축이 수치형인지 날짜형인지에 따라 설정 방법이 조금 다르다.
📌 제목, 캡션, 도구설명
- 캡션 : 워크시트에서 만든 차트에 대한 요약이 자동으로 표기되며, 원하는 내용으로 편집이 가능
- 도구설명 : 차트의 각 마크에 관련된 필드값을 텍스트 형태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하며, 원하는 내용으로 편집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