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요청과 토큰 발급
1. Request URI
POST| https://서버 주소(ip)/api/서버 API 버전/auth/signin
2. Request Body
<tsRequest>
<credentials name="계정 이름" password="계정 PW">
# 기본 사이트 사용시, contentUrl은 공백으로 지정.
<site contentUrl="사이트 이름" />
</credentials>
</tsRequest>
3. Response 결과
2번의 Body를 담아 1번의 URI를 사용해 요청을 보내면, token과 site id가 반환된다.
<tsResponse xmlns="http://tableau.com/api"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tableau.com/api
http://tableau.com/api/ts- api-3.4.xsd">
<credentials token="token 정보">
<site id="site id 정보" contentUrl="contentUrl 정보"/>
<user id="user id 정보"/>
</credentials>
</tsResponse>
4. 토큰 추가
Tableau Server는 위에서 발급한 token을 통해 호출에 응답한다.
따라서 요청을 보낼 때에는 반드시 토큰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2시간 정도면 토큰이 만료되므로 새로 로그인 요청을 해야한다.

발급받은 토큰은 위의 그림처럼 Request의 헤더에 키/값으로 추가해주면 된다.
▶︎ 로그인 요청과 토큰 발급
1. Request URI
POST| https://서버 주소(ip)/api/서버 API 버전/auth/signin
2. Request Body
<tsRequest>
<credentials name="계정 이름" password="계정 PW">
# 기본 사이트 사용시, contentUrl은 공백으로 지정.
<site contentUrl="사이트 이름" />
</credentials>
</tsRequest>
3. Response 결과
2번의 Body를 담아 1번의 URI를 사용해 요청을 보내면, token과 site id가 반환된다.
<tsResponse xmlns="http://tableau.com/api"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tableau.com/api
http://tableau.com/api/ts- api-3.4.xsd">
<credentials token="token 정보">
<site id="site id 정보" contentUrl="contentUrl 정보"/>
<user id="user id 정보"/>
</credentials>
</tsResponse>
4. 토큰 추가
Tableau Server는 위에서 발급한 token을 통해 호출에 응답한다.
따라서 요청을 보낼 때에는 반드시 토큰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2시간 정도면 토큰이 만료되므로 새로 로그인 요청을 해야한다.

발급받은 토큰은 위의 그림처럼 Request의 헤더에 키/값으로 추가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