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 세 차례의 코딩 테스트와 두 차례의 면접이라는 기나긴 블라인드 공채를 무사히 통과해
카카오에 입사한 무지는 파일 저장소 서버 관리를 맡게 되었다.
저장소 서버에는 프로그램의 과거 버전을 모두 담고 있어, 이름 순으로 정렬된 파일 목록은 보기가 불편했다.
파일을 이름 순으로 정렬하면 나중에 만들어진 ver-10.zip이 ver-9.zip보다 먼저 표시되기 때문이다.
버전 번호 외에도 숫자가 포함된 파일 목록은 여러 면에서 관리하기 불편했다.
예컨대 파일 목록이 ["img12.png", "img10.png", "img2.png", "img1.png"]일 경우,
일반적인 정렬은 ["img1.png", "img10.png", "img12.png", "img2.png"] 순이 되지만,
숫자 순으로 정렬된 ["img1.png", "img2.png", "img10.png", img12.png"] 순이 훨씬 자연스럽다.
무지는 단순한 문자 코드 순이 아닌,
파일명에 포함된 숫자를 반영한 정렬 기능을 저장소 관리 프로그램에 구현하기로 했다.
소스 파일 저장소에 저장된 파일명은 100 글자 이내로,
영문 대소문자, 숫자, 공백(" "), 마침표("."), 빼기 부호("-")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명은 영문자로 시작하며, 숫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파일명은 크게 HEAD, NUMBER, TAIL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HEAD는 숫자가 아닌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소한 한 글자 이상이다.
NUMBER는 한 글자에서 최대 다섯 글자 사이의 연속된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쪽에 0이 올 수 있다.
0부터 99999 사이의 숫자로, 00000이나 0101 등도 가능하다.
TAIL은 그 나머지 부분으로, 여기에는 숫자가 다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아무 글자도 없을 수 있다.
파일명을 세 부분으로 나눈 후, 다음 기준에 따라 파일명을 정렬한다.
파일명은 우선 HEAD 부분을 기준으로 사전 순으로 정렬한다.
이때, 문자열 비교 시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MUZI와 muzi, MuZi는 정렬 시에 같은 순서로 취급된다.
파일명의 HEAD 부분이 대소문자 차이 외에는 같을 경우,
NUMBER의 숫자 순으로 정렬한다. 9 < 10 < 0011 < 012 < 13 < 014 순으로 정렬된다.
숫자 앞의 0은 무시되며, 012와 12는 정렬 시에 같은 같은 값으로 처리된다.
두 파일의 HEAD 부분과, NUMBER의 숫자도 같을 경우, 원래 입력에 주어진 순서를 유지한다.
MUZI01.zip과 muzi1.png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정렬 후에도 입력 시 주어진 두 파일의 순서가 바뀌어서는 안 된다.
무지를 도와 파일명 정렬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제한사항]
- 입력으로 배열 files가 주어진다.
- files는 1000 개 이하의 파일명을 포함하는 문자열 배열이다.
- 각 파일명은 100 글자 이하 길이로, 영문 대소문자, 숫자, 공백(" "), 마침표("."), 빼기 부호("-")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 파일명은 영문자로 시작하며, 숫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 중복된 파일명은 없으나, 대소문자나 숫자 앞부분의 0 차이가 있는 경우는 함께 주어질 수 있다.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풀이
import re
def solution(files):
answer = []
key = []
s = re.compile('[^0-9]*')
n = re.compile('[0-9]*')
for item in files:
head = s.findall(item)[0].lower()
new_item = item[len(head)::]
number = int(n.findall(new_item)[0])
key.append([item, head, number])
key.sort(key=lambda x: (x[1], x[2]))
for item in key:
answer.append(item[0])
return answer
💡 Head는 숫자가 나오기 직전까지 모든 형태의 문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숫자가 아닌 모든 문자를 찾아주는 정규식을 사용해서 정리해주었다.
그리고 Number는 다른 문자가 나오기 전까지의 모든 숫자를 찾아주는 정규식으로 정리했다.
다만, search() 대신 findall()을 사용해서 굳이 첫번째 문자열을 인덱싱 해준 이유는 그냥 예외처리 정도!
Head와 Number를 원래 문자열에서 떼어내는데 성공한 뒤엔, 정렬을 진행해줬다.
정렬에 키 값으로 사용할 Head와 Number를 파일명과 같이 저장할 별도의 리스트를 만든 뒤에
Head 먼저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추가로 Number로 오름차순 정렬을 할 수 있도록 키를 지정했다.
정렬이 완료되었다면, 파일명만 따로 떼어서 정답으로 return 해주며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