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ing Fonts
📄 워크시트 제목을 바꾸는 방법
- 워크시트 제목을 더블클릭 하기
- 텍스트 스타일 변경 및 원하는 값 삽입
🛠️ Axis를 편집하는 방법
- 축 우클릭 하기 👉🏻 Format 선택
- 텍스트 스타일 및 채우기 색 선택
🏷️ Label을 편집하는 방법
- 레이블 우클릭 하기 👉🏻 Format 선택
- 텍스트 스타일 및 채우기 색 선택
🛠️ Tooltip을 편집하는 방법
- Marks의 Tooltip 선택
- 텍스트 스타일 변경 및 원하는 값 삽입
메뉴바의 Format 탭에서 Font를 선택하면
Sheet, Rows, Columns 범위별로 연관된 모든 텍스트에 동일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선 Font뿐만 아니라 정렬 등 다양한 옵션들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 Using Colors
Marks의 Color 선택 👉🏻 Edit Colors를 누르면 Categorical Palette 메뉴가 등장한다.
각 카테고리별로 원하는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투명도나 테두리 옵션도 변경이 가능하다.
Categorical Palette인 이유는, 카테고리에 속한 항목별로 다른 색을 지정해주기 때문이다.
Discrete values(특히 Dimension값)을 색상에 지정하는 경우에는
색상에 정량적인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Continuous values(특히 Measure값)을 색상에 지정하는 경우에는
값의 대소에 따라 색상이 점차 변화하므로 색상에 정량적인 의미가 존재한다.
Continuous values의 경우 색상을 점차 변화하지 않고
단계별로 변화하도록 Stepped Color를 지정하거나, 색상 반전을 줄 수도 있다.
📌 Viz Animations
📺 애니메이션
뷰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등을 적용해서 워크시트에 일어나는 변화가 별다른 동작 없이 즉각적으로 적용된다.
🛠️ 애니메이션을 추가하는 방법
- 메뉴바의 Format 탭 👉🏻 Animation 선택
- Workbook Default를 On으로 설정
- Duration, Style등을 원하는 대로 설정
- 애니메이션이 적용될 워크시트를 설정
🤔 애니메이션의 종류
- Simultaneous animations : 단순한 차트나 대시보드에서 변화를 보여줄 때 빠르고 정확하게 작동한다.
- Sequential animations : 수행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복잡한 변화를 단계별로 명확하게 보여준다.
[시험에서 아주 중요한 포인트]
애니메이션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와 기능들
- 애니메이션이 지원되는 브라우저 :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모든 웹 브라우저
- 애니메이션이 지원되지 않는 태블로 기능
- Maps, polygons, and destiny marks in web browsers
- Pie and text marks
- Axes and headers
- Forecasts, trends, and reference lines
- Page history trails
만약 애니메이션이 위의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예상치 못한 작동을 막기 위해 애니메이션을 끄는 것이 좋다.
📌 Introduction to Dashboards and Layouts
대시보드는 여러 워크시트들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
- 새 대시보드 만들기 버튼 클릭
- 대시보드에 표시할 시트를 끌어다 놓기 (표기된 범례나 매개변수도 함께 가져와진다.)
- 이미 사용된 워크시트는 다시 사용할 수 없다.
- 대시보드 크기 설정하기
[시험에서 아주 중요한 포인트]
대시보드 크기 옵션
- Fixed size(기본옵션) : 원하는 화면에 맞는 크기로 대시보드의 크기를 고정해준다.
- Range : 설정한 최소, 최대 크기 범위 내에서 대시보드의 크기가 유동적으로 변하도록 해준다.
- Automatic : 표시될 화면의 크기에 맞게 자동적으로 대시보드의 크기를 바꿔준다.
📌 Add Dashboard actions
🛠️ 대시보드에 Action을 추가하는 방법
- 메뉴바의 Dashboard 탭 👉🏻 Actions 선택
- Add Action 👉🏻 원하는 Action 선택
- Source Sheets, Run action on 옵션, Target Sheets를 설정
- Run action on 옵션에 해당하는 동작을 Source Sheets에 수행하면, Target Sheets에 Filter가 수행된다.
하나의 워크시트를 Source Sheet로 하는 필터를 추가하는 경우,
대시보드에 있는 워크시트를 클릭하면 우측 상단에 작게 나오는 Use as Filter를 누르면 손쉽게 Action이 추가된다.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
주어진 하나의 워크시트를 이용해 다른 워크시트들에 필터를 적용하기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Action]
Filter(데이터 필터링), Highlight(데이터 강조), Go to URL(지정된 URL로 이동)
📌 Tiled vs Floating
대시보드의 각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tiled 상태이다.
tiled란, 고정된 영역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Floating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요소는 자신의 영역에서 벗어나 다른 요소들의 영역에도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대시보드 각 요소들이 가진 영역의 테두리나 배경색을 꾸밀 수 있다.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내용]
대시보드의 요소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
👉🏻 원하는 요소를 클릭하면 나오는 영역의 맨 위에 존재하는 두 줄 모양 버튼을 잡고 원하는 위치로 옮기면 된다.
📌 Optimizing layout for different devices
📄 레이아웃
대시보드의 기본 레이아웃을 완벽하게 만드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데,
다른 장치들에서 보는 레이아웃은 이 기본 레이아웃의 모든 것들에 대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대시보드 탭의 Default가 아닌 Phone을 선택하면 휴대폰에서의 기본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대시보드의 요소들이 많을 경우 모든 휴대폰 화면에 레이아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Fit width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Device Preview를 눌러 다양한 휴대폰에서의 화면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다.
좌우 회전 버튼을 눌러서 Portrait mode와 Landscape 모드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 (가로, 세로모드)
Default, Desktop, Tablet, Phone모드의 Layout을 설정할 수 있다.
📄 Auto-Generate Layout
Dashboard탭의 Phone버튼 오른쪽에 있는 점 세개 메뉴를 눌러 만들 수 있다.
Default에서부터 모든 요소를 가져와 자동적으로 적절한 Layout을 만들어주도록 하는 옵션이다.
Edit Layout을 이용해 원하는 화면을 보여주도록 수정할 수 있으며,
Custom 탭에서 표시된 워크시트 체크가 가능하다.
Delete Layout을 이용하면 만들어진 레이아웃을 삭제할 수 있다.
📌 Creating a story
Story란, 태블로에서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을 보여주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Story는 정보를 전하기 위해 협력하는 시각화 요소들의 흐름이다.
Story 각 화면의 상단 가운데에 위치한 네모칸은 Story point라는 요소이다.
이 요소에 해당 Story 시트에 존재하는 워크시트나 대시보드를 설명하는 텍스트를 적거나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Story point에서는 워크시트나 대시보드를 하나씩만 보여줄 수 있으며,
Story는 이 Story point 여러개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Story탭의 New story point메뉴에 위치한 Blank 버튼을 눌러 새 Story point를 만들 수 있다.
Story탭의 New story point메뉴에 위치한 Duplicate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Story point를 복제할 수 있다.
각 Story point는 구성요소들의 선택 여부등을 유지해준다.
한 Story point의 한 지점을 선택해둔 상태로 다음 Story point로 이동하면,
해당 Story point가 Updated 되었다는 문구가 뜨고 다시 돌아가보면 해당 지점이 선택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Story탭의 Drag to add text메뉴를 Story point에 끌어다 두어 주석처럼 사용할 수 있고,
Size메뉴를 통해 Story point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Story point에 가져다두었던 워크시트나 대시보드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도
Story point의 문구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이를 수정하거나 Story point를 새로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