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트 형태 선택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비교유형의 유형이 총 5가지였는데,
마찬가지로 기본 차트 형태도 5개로 구성되어 있다.
5가지 기본 차트 형태는 원, 가로막대, 세로막대, 꺾은선, 점 그래프이다.
1. 구성요소 비교유형
구성요소 비교유형은 대개 원 그래프를 통해 잘 표현할 수 있다.
보통 6개 이하의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구성요소가 많다면 5개의 중요 구성요소와 그 외 기타 범주로 나누면 좋다.
만약 하나 이상의 전체에서 구성요소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면,
원 그래프 두 개를 사용하기 보단 백분율 막대 그래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항목 비교유형
항목 비교유형은 대개 가로막대 그래프를 통해 잘 표현할 수 있다.
각 막대들은 강조하려는 바를 살려 정렬해주면 좋고,
막대들 사이의 간격이 막대의 너비보다는 좁아야 한다.
수치를 표시하려는 경우 값을 반올림하고,
소수점 이하의 수가 큰 의미가 없는 경우는 생략하는 것이 좋다.
항목 비교유형을 표현하는 데 가로막대 그래프가 세로막대 그래프보다 효율적인 이유
- 시간적 추이 비교유형과 혼동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 항목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 세로막대에 비해 효율적이다.
3. 시간적 추이 비교유형
시간적 추이 비교유형은 세로막대 그래프 또는 꺾은선 그래프가 적합하다.
시간에 따라 나타낼 표시점이 적을 때는 세로막대 그래프를,
긴 기간에 따른 추세를 나타내야 한다면 꺾은선 그래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도수분포 비교유형
도수분포를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은 히스토그램이나 히스토그래프이다.
히스토그램은 적은 수의 범위를 다룰 때 사용하는 것이 좋고,
히스토그래프는 많은 수의 범위를 다룰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
- 범위의 크기 : 일반적으로 5~20개의 그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집단의 크기 : 같은 크기의 집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정확한 설명 : 집단의 크기를 분명히 설명해야 한다.
5. 상관관계 비교유형
상관관계 비교유형은 산포도 그래프로 가장 잘 표현된다.
만약 산포도의 점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싶다면, 쌍 가로막대 그래프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한 쌍의 가로막대 사이에 각 항목들의 이름을 표기해주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