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azon S3 Amazon S3는 무한 스케일링 저장소라고 한다. 많은 웹사이트에서 Amazon S3를 백본으로 사용하고, 많은 AWS 서비스들도 Amazon S3를 통합하여 이용한다. ⚙️ Amazon S3의 Use cases 백업 및 저장소 재난 복구 아카이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저장소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데이터 레이크 &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제공 정적인 웹사이트 호스팅 🪣 Amazon S3 Buckets 아마존 S3는 객체들을 버킷에 저장하도록 한다. 버킷에는 모든 리전과 모든 계정을 통틀어서 고유한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S3는 글로벌 서비스처럼 보이지만, 버킷은 리전 단위로 생성된다. ✅ 버킷 명명 규칙 대문자나 밑줄을 허용하지 않음 3 ~ 6글자 IP 주소는 안됨 반드시 소문자나 ..
자격증/AWS CLF-C02
📌 확장성 & 고가용성 확장성이란, 응용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적응을 통해 더 큰 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확장성의 종류로는 수직적 확장성과 수평적 확장성이 있다. ⬆️ 수직적 확장성 수직적 확장성이란, 인스턴스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t2.micro 인스턴스를 t2.large로 변경하는 것이다. 수직적 확장성은 분산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시스템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나, 확장에 한계가 있다. ➡️ 수평적 확장성 수평적 확장성이란, 인스턴스나 시스템의 수를 늘리는 것을 뜻한다. 수평적 확장성은 분산 처리 시스템을 의미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최신 애플리케이션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AWS에서는 Amazon EC2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평적 확장이 쉽다. 🛠️ 고가..
🪣 EBS Volume EBS란 Elastic Block Store의 약어로, 인스턴스가 실행되는 동안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드라이브이다. EBS 볼륨은 인스턴스가 종료된 후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CCP레벨에서 EBS 볼륨은 한 번에 한 인스턴스에만 마운트 될 수 있는 네트워크 USB라고 생각하면 된다. 매월 30GB의 SSD와 같은 일반적인 타입이나 마그네틱 타입의 저장소를 제공한다. ✅ EBS 볼륨의 특징 EBS 볼륨은 물리적 드라이브가 아닌, 네트워크 드라이브다. 인스턴스와 EBS 볼륨 사이의 의사소통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지연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 EC2 인스턴스에서 분리되어 다른 인스턴스로 빠르게 연결이 가능하며, 이것은 장애 조치에 매우 유용하다. ..
☁️ Amazon EC2 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 줄임말로, IaaS에 해당한다. [EC2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가상머신 대여 (EC2) 가상 드라이브나 EBS 볼륨에 데이터 저장 (EBS) 기기들에 부하를 분산 (ELB) 자동 스케일링 그룹을 사용한 스케일링 (ASG) ⚙️ EC2 사이즈 & 구성 옵션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 맥OS 컴퓨팅 성능 & 코어 설정 RAM 설정 저장 공간 설정 네트워크 카드 : 속도, 공용 IP 주소 방화벽 규칙 : 보안 그룹 부트스트랩 스크립트 : EC2 사용자 데이터 🙋🏻 EC2 사용자 데이터 EC2 사용자 데이터 스크립트를 통해 인스턴스들을 부트스트랩하는 것이 가능한데, 부트스트랩이란 가상머신이 시작할 때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
🧑🏻💻 IAM IAM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로, 사용자를 생성하고 그룹에 할당할 수 있는 글로벌 서비스다. 루트 계정은 기본으로 생성되며, 루트 계정을 손대거나 공유하는 대신, 사용자를 생성해야 한다. 사용자는 조직내의 사람을 의미하며, 그룹으로 만들 수 있다. 그룹에는 사용자만 속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속할 수 없다. 또한, 유저들은 꼭 그룹에 포함될 필요가 없으며, 여러 그룹에 속할 수도 있다. ✍🏻 권한부여 사용자나 그룹은 정책이라고 불리는 JSON 문서를 받을 수 있으며, 정책은 사용자들의 권한을 정의한다. AWS에서는 최소한의 특권 원칙을 적용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필요 이상의 권한은 주지 않는다는 원칙이다. IAM에서는 Region 선택이 불가능한..
📄 Cloud의 등장 배경 데이터 센터나 집을 소유하면 임대료를 내야하며, 전원 공급, 냉각, 유지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서버를 추가하거나 대체하려면 주문을 해야하므로 시간이 걸리고, 스케일링이 제한되며, 인프라를 모니터링할 인력이 상시로 필요한데다 재난이 발생할 경우 매우 곤란하다. 이 모든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클라우드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 Cloud Computing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응용프로그램, 그 외의 IT 리소스들의 수요 기반 주문형 서비스다. pay-as-you-go 가격 정책을 통해 요구한 만큼만 금액을 지불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정확하게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자원의 유형과 크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필요한 만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