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5 ~ 16장 :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 & UTM 변수

2024. 6. 24. 18:21· 독서
목차
  1. 1️⃣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
  2. 2️⃣ 크로스 도메인 설정
  3. 3️⃣ UTM 변수
  4. 💡 정리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이 뭘까?

배경부터 살펴보자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어떤 고유한 도메인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트래킹하도록 되어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유권이 동일한 사이트여도 방문자가 다른 도메인으로 이동하면 세션이 끊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세션이 끊어지면 성과 추적이 중단되기 때문에 정확한 성과 측정이 어려워지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웹사이트 소유권은 동일하지만 도메인이 서로 다른 웹사이트를 교차로 방문할 때

세션이 끊기지 않게 트래킹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의 전제 조건은 아래와 같다.

  1. 소유권이 동일한 양쪽 도메인에 동일한 GTM 추적 코드를 삽입
  2. GA4 기본 구성 태그가 각 도메인 방문 시 실행되도록 세팅

 

그렇다면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을 어디서 써먹을 수 있느냐..

이커머스 운영의 경우, 프로모션이나 이벤트를 진행하는 상황을 예시로 소개하고 있다.

이벤트를 위해 별도의 마이크로 사이트를 만드는 경우,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을 위해 기본 웹 사이트 도메인과 동일한 서브 도메인을 생성해서 운영하는 것이다.

 

이렇게 운영하는 경우 방문자들이 이벤트 사이트와 기본 웹 사이트를 왔다갔다 하더라도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이 적용되어 있어 세션이 끊기지 않고, 이는 곧 고객의 여정이 끊기지 않음을 의미한다.

 

2️⃣ 크로스 도메인 설정

그렇다면 GA4에서 크로스 도메인 설정을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책에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고 소개하고 있다.

 

  1. GA 화면 좌측 하단의 관리 메뉴 클릭 > 속성 섹션의 메뉴 중 데이터 스트림 클릭
  2. 수정 권한이 있는 웹 스트림을 클릭 > Google 태그 설정에서 태그 설정 구성 메뉴 클릭
  3. 설정 메뉴를 펼친 뒤 도메인 구성 메뉴 클릭
  4. 기본 도메인과 추가로 연결하고자 하는 도메인 입력
  5. http 프로토콜을 제외한 도메인 주소만 다음 값을 포함 조건으로 입력

 

과정을 따라서 세팅을 잘 했다면, GTM 미리보기 모드로 체크를 해보면 되겠다.

 

3️⃣ UTM 변수

GA4에서는 UTM 변수를 활용해 캠페인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한다.

랜딩될 예정인 웹사이트 URL 뒤에 UTM 변수를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물론,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을 위해 UTM 변수값을 정의하는 규칙을 명확히 하는게 매우 중요하시겠다.

 

근데... 그러면 UTM 변수가 무엇이느냐..

GA4에서는 레퍼러 정보를 통해 어떤 도메인에서 유입되는지를 알 수 있고,

구글 광고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는 자체 플랫폼 데이터이기 때문에 트래픽 정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의 유입경로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100% 정확한 판독이 어렵다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GA4가 인식할 수 있도록 매체별 링크에 별명을 붙여주어야 하며, 이것이 UTM 변수이다.

 

책에서 공개한 예시를 조금만 가져와서 파악을 해보자면..

http://goodeal.kr/?utm_source=naver&utm_medium=display&utm_campaign=summer_deal

캠페인 링크가 위와 같을때, 링크 뒷부분을 통해 다음의 내용들을 알 수 있다.

  • utm_source=naver 👉🏻 캠페인 링크 출처가 네이버라는 의미
  • utm_medium=display 👉🏻 캠페인 매체가 디스플레이 형태라는 의미
  • utm_campaign=summer_deal 👉🏻 캠페인 이름이 summer_deal이라는 의미

 

UTM 변수에는 위에서 소개한 utm_source, utm_medium, utm_campaign이 필수로 들어가야 한다.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utm_content, utm_term, utm_id, utm_source_platform을 포함하면 7개의 종류가 있다.

각 변수들이 의미하는 바는 아래와 같다.

  • utm_source : 캠페인 링크 출처
  • utm_medium : 캠페인 링크 유형
  • utm_campaign : 캠페인 이름
  • utm_content : 캠페인 링크 소재
  • utm_term : 캠페인 링크 키워드
  • utm_id : 캠페인 id
  • utm_source_platform : 소스 플랫폼

 

주의할 점이 하나 있다.

구글 애즈와 같은 구글 플랫폼 광고 상품에 자동 태그 추가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 gclid라는 자동 태그가 붙는다.

그런데 이 경우, UTM 변수까지 동시에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 애즈의 자동 태그 설정이 활성화 되어있다면(사실 기본옵션임) UTM 변수를 사용하면 안된다.

 

이런 점을 조심하면서 UTM 변수를 할 수 있는 선에서 유입되는 트래픽에 정확하게 정의해주면,

출처가 불분명한 트래픽들을 최대한 정확하게 핸들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추가적으로 GA4의 채널 분류 기준을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다.

관련된 정보는 게시글로 담기는 너무 양이 많은 것 같고..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GA4] 기본 채널 그룹 - 애널리틱스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만약 소스 및 카테고리 목록에 원하는 값이 없다면 구글측에 추가를 요청할 수 있다고도 한다.

(다만 일처리 여부는 알 수 없다고 함.. ㅋㅋ)

 

항상 수집된 데이터들 중에서 Unassigned 채널로 분류된 트래픽을 확인해서,

이것들이 계속해서 Unassigned로 수집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작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 정리

오.. 확실히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훨씬 더 정교함을 요구하는 것 같다.

이런 디테일들의 차이가 곧 데이터 분석의 퀄리티를 좌우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항상 리마인드해야 할 것 같다.

작은 디테일 하나하나가 업무 성패를 좌우한다고 믿는 만큼.. 앞으로도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1. 1️⃣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
  2. 2️⃣ 크로스 도메인 설정
  3. 3️⃣ UTM 변수
  4. 💡 정리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9 ~ 20장 : 데이터 필터 & 측정 기준
  •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7 ~ 18장 : 데이터 레이어
  •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3 ~ 14장 : 구글 태그 매니저 & 성과 측정
  •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9 ~ 12장 : 이벤트 수집 & 보고서
zzzini
zzzini
종착지는 어디인지 모르지만
zzzini
나의 표류일지
zzzini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08)
    • ASAC 빅데이터 분석가 4기 (44)
      • Python기초 (6)
      • SQL (3)
      • Matplotlib & Seaborn (2)
      • Data Handling (6)
      • Web Crawling (3)
      • Machine Learning (9)
      • Deep Learning (10)
      • 데이터 분석 (1)
      • 기타 (2)
      • 수학 (2)
    • 코딩 테스트 준비 (168)
      • 5정한 (132)
      • 카카오 (14)
      • PCCP & PCCE (3)
      • 프로그래머스 (19)
    • 자격증 (35)
      • AWS CLF-C02 (18)
      • AWS SAA-C03 (1)
      • Tableau Desktop Specialist (5)
      • Tableau Certified Data Anal.. (11)
    • 독서 (17)
    • Tech (24)
      • Tableau (11)
      • AI (4)
      • Flask (1)
      • Node.js (2)
      • Cloud Computing (2)
      • Git & GitHub (1)
      • Notion API (1)
      • Linux (2)
    • Projects (2)
    • 알고리즘 공부 (6)
    • 🎵 (11)

블로그 메뉴

  • 글 쓰기
  • 홈
  • 방명록

공지사항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1
zzzini
[구글 애널리틱스4 실전 활용법] 15 ~ 16장 : 크로스 도메인 트래킹 & UTM 변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