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A4 데이터 필터
트래픽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내부 트래픽이나 스팸 트래픽이 포함되면 순도가 무지무지 떨어질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GA4 데이터 필터로 특정 네트워크의 IP 주소에서 유입된 트래픽이 수집되지 않게 해야 한다.
GA4 데이터 필터는 사용시 두 가지의 주의 사항이 있다.
- GA4 데이터 필터는 생성된 시점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필터가 적용된 데이터는 변경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므로 적용 전 테스트가 필수적이다.
👉🏻 GA4 데이터 필터의 종류
GA4 데이터 필터에는 내부 트래픽 필터와 개발자 트래픽 필터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
먼저 내부 트래픽 필터는 특정 IP 주소 및 대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제외, 포함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나, 스팸이 발생하는 주소를 제외할 수 있다고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개발자 트래픽 필터는 GTM의 미리보기 모드 상태 환경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제외처리 한다.
테스트하다가 의도하지 않게 데이터의 품질을 저하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고 이해하였다.
👉🏻 GA4 데이터 필터 모드의 종류
GA4 데이터 필터 모드에는 테스트/활성/비활성의 세가지 종류가 있다.
테스트 모드의 경우, GA4 데이터 필터를 적용하기 전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활성/비활성 모드는 뭐.. 말 그대로!! 😅
2️⃣ GA4 맞춤 측정기준
GA4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측정기준 말고도 무언가 새로운 데이터 조회 기준을 추가하고 싶다면..
GA4 맞춤 측정기준을 세팅하여 이용하면 되시겠다!
GA4에서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백날 기다려봐야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경우 맞춤 측정기준을 등록해야 데이터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념해야겠다.
책에서는 이벤트를 등록할 때 추가로 수집할 매개변수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추후 GA4에서 조회하거나 분석에 활용하겠다는 판단이 선다면
반드시 맞춤 측정기준으로 등록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 정리
책에서는 GA4 데이터 필터와 맞춤 측정기준의 개념과 세팅 방법을 알려주는 과정에서
데이터 레이어를 세팅하는 과정은 개발팀에 요청하는 업무로 분류하는 분위기 같다..??
나는 자바스크립트를 다룰 줄 아는? 개발자니깐..^^
데이터 레이어 세팅 및 삽입 과정에 대해서 스스로 조금 더 공부해서 혼자 할 줄 알아야겠다고 생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