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ing Fonts 📄 워크시트 제목을 바꾸는 방법 워크시트 제목을 더블클릭 하기 텍스트 스타일 변경 및 원하는 값 삽입 🛠️ Axis를 편집하는 방법 축 우클릭 하기 👉🏻 Format 선택 텍스트 스타일 및 채우기 색 선택 🏷️ Label을 편집하는 방법 레이블 우클릭 하기 👉🏻 Format 선택 텍스트 스타일 및 채우기 색 선택 🛠️ Tooltip을 편집하는 방법 Marks의 Tooltip 선택 텍스트 스타일 변경 및 원하는 값 삽입 메뉴바의 Format 탭에서 Font를 선택하면 Sheet, Rows, Columns 범위별로 연관된 모든 텍스트에 동일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선 Font뿐만 아니라 정렬 등 다양한 옵션들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 Using Colors Marks의 C..
자격증
📌 Bar Charts 📊 Bar Charts 차트를 처음 만들 때 태블로 워크시트 우측 상단의 Show me 를 눌러보면, 차트 종류 체크 및 필요한 값의 종류 확인이 가능하다. 바 차트에서 Y축은 행을 의미한다. 행과 열을 전환 버튼을 눌러서 바꿀 수 있다. 정렬 또한 정렬 버튼을 눌러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 Marks 메뉴에서 할 수 있는 일 차트의 색상과 테두리 옵션을 바꿀 수 있다. (색상 옵션에 원하는 차원값을 넣어서 차원별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Marks 메뉴에서 Size를 조절할 수 있다. 보고 싶은 측정값을 Marks의 Label에 넣어서 차트의 막대에 마우스를 올리지 않고도 값을 볼 수 있다. (더 쉬운 방법은 Show Mark Labels 버튼을 누르는 것이..
📌 라이브 vs 추출 🔗 live connection 처음 xlsx나 csv파일을 태블로에 연결했을 경우, 기본 연결 방식은 live connection이다. 이 때 원본 데이터 소스를 변경하면, 태블로에도 변경사항이 반영된다. 🔗 추출 원본 데이터가 너무 많은 경우, 속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추출 방식을 이용한다. 추출 방식은 원본 데이터의 일부를 분리해서 가져오며, 어떤 부분을 가져올지는 선택할 수 있다. 추출된 데이터의 경우, 원본 데이터의 변화가 발생하면 새로고침(Refresh) 함으로써 원본 데이터에 query를 보내 갱신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다. 추출을 사용하면 데이터에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만을 가지고 작업이 가능하다. 추출의 장점 Supports large data ..
📌 데이터의 종류 🤔 Qualitative 🆚 Quantitative Qualitative : 셀 수 없고,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 종류이다. ex) 성별, 이름, 국가 등등.. (Categorical) Quantitative : 셀 수 있는 데이터 종류로, Discrete, Continuous로 나뉜다. 🤔 Quantitative Data의 종류 Descrete : 이산형 수로, 정해져 있는 수. ex) 1, 3, 5 Continuous :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범주형 수. ex) 온도 변화, 출산율 등 📌 가장 중요한 폴더 📁 My tableau repository 처음 tableau desktop 설치 시 생성되는 가장 중요한 폴더 위치는 맥 : Documents -> My Tableau Re..
📌 AWS AWS는 Amazon Web Service의 약자로, 클라우드 공급자다. 온디맨드 방식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서버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AWS Cloud의 역사 2002년 - 첫 출시 2004년 - 첫 서비스인 SQS 출시 2006년 - 확장된 서비스 SQS, S3 & EC2 출시 2007년 - 유럽에서 출시 📌 AWS Cloud Use Case 복잡하고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기업 IT 이전, 백업 & 스토리지에 사용한다. 빅데이터 분석에 사용한다. 웹사이트 호스팅, 모바일 또는 소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백엔드로 사용한다. 게임 서버 전체가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 AWS Regions 전 세계에 걸쳐 있는 이름이 ..